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흥선대원군 경복궁 중건 척화비 쇄국정책 하야 정리

★※●★◎※●〓§▒ㅁ〓§▒◈◎ 2023. 4. 17. 12:52

목차



    반응형

    흥선대원군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쇄국정책과 척화비입니다 .조선 후기 세도정치 시기 나라꼴이 말이 아니었죠. 백성들은 살기 힘들어지고 탐관오리들이 판치는 세상이었습니다. 그래서 고종은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에게 개혁을 요청했어요. 하지만 대원군은 왕권강화를 위해 서원철폐, 호포제실시 등 여러가지 정책을 펼쳤지만 결국 실패하게 됩니다. 이처럼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이자 최후의 집권자였던 흥선대원군이지만 오늘날엔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한데요. 과연 어떤 일들을 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흥선대원군 경복궁 중건
    흥선대원군 척화비
    흥선대원군 쇄국정책
    흥선대원군 하야

     

     

     

    흥선대원군 경복궁 중건

     

    흥선대원군 하면 제일먼저 떠오르는 것은 역시 경복궁 중건이죠. 당시 임진왜란때 불탄 경복궁을 다시 지으면서 원납전이라는 기부금을 강제로 징수했는데 이로 인해 많은 백성들이 고통을 받았습니다. 또한 당백전이라는 화폐를 발행해서 물가가 폭등하기도 했죠. 그리고 무리한 토목공사로 세금부담이 가중되어 양반에게도 군포를 부과하는 호포제를 실시했지만 양반들의 반발로 제대로 시행되지 못했습니다.

     

     

    흥선대원군 척화비

     

    병인박해 이후 프랑스 선교사 9명을 처형하면서 병인양요가 발생했습니다. 이때 양헌수 장군이 정족산성에서 물리쳤죠. 이를 계기로 서양세력과 통상거부 의지를 담음 척화비를 전국각지에 세웠습니다. 

     

    고종 즉위 후 실권을 잡은 흥선대원군은 안동김씨 세력을 몰아내고 인재를 고루 등용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특히 신분보다는 능력을 중시했죠. 그러나 자신의 아들인 고종을 왕위에 앉힌후 섭정을 하면서 권력을 남용했고 이로인해 민심을 잃었습니다. 

     

     

    흥선대원군 쇄국정책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병인양요와 신미양요가 있습니다. 먼저 병인양요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프랑스 선교사 9명중 8명이 처형당한 사건을 빌미로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를 침입한 사건입니다. 이때 양헌수 장군이 이끄는 군대가 정족산성에서 프랑스 군을 격퇴했습니다. 다음으로는 신미양요 입니다.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호가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와 평양 군민과 충돌하였고, 이를 구실로 미군이 강화도를 점령한 사건입니다. 어재연 장군이 이끄는 조선군이 광성보에서 저항하였으나 끝내 패배하였습니다.

     

    흥선대원군 하야

     

    당시 조정에서는 위정척사 사상을 가진유학자들이 많았습니다. 특히 최익현 선생은 대원군의 하야를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개화파 인사들도 있었습니다. 박규수, 오경석등은 청의 선진 문물을 배워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김옥균, 박영효 등 급진 개화파는 개혁을 추진하기 위해 수신사 파견을 요청했죠. 그러나 두 차례 사절단 파견 시도를 실패로 돌아갔고 오히려 일본 공사관 직원 및 유학생 살해사건(갑신정변)이 일어나면서 청나라의 간섭이 심해졌습니다.

     

    우리나라는 오랜 기간 동안 중국 중심의 동남아시아 질서 안에서 살아왔기 때문에 세계 정세 변화에 둔감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서구 열강의 침략 앞에서도 주체적으로 대응하기 못하고 강대국 사이에서 이리저리 휘둘리며 많은 피해를 입었죠.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다시는 그런 일이 반복되는 일이 없도록 대비해야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명성황후 인물탐구 생가 기념관 업적 시해사건 '을미사변'

    베드로의 고백에 대해 알아보자

    이순신장군 학익진 거북선발명 명량대첩에 대해 알아보자

    베드로의 고백에 대해 알아보자